• 최종편집 2025-01-14(수)

임이자 국회의원,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 편성 위한 개정안 대표발의

"1분 1초가 생사를 좌우… 구조체계 강화로 국민 안전 지킬 것"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2.19 11:2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국립공원, 최근 5년간 평균 122건 사고 발생, 추락·심장돌연사 80% 차지

 탐방객 안전사고 대응 강화를 위한 특수산악구조대 운영 법적 근거 마련

 

 
20241012155809_nnvxioni.jpg
임이자 국회의원(상주·문경)

 

 국민의힘 임이자 국회의원(상주·문경)은 19일 국립공원 산악구조대 편성을 위한「국립공원공단법」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국립공원 내 탐방객 안전사고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국립공원공단이 전문 구조대를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국립공원은 국민의 자연휴식처이자 생태 보전의 핵심 공간이지만, 산악지형이라는 특성상 안전사고 발생 시 구조·구급 활동이 지연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됐다. 지난해 국립공원 내 안전사고는 119건이 있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22건에 달하는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도별 국립공원 탐방객 안전사고 현황>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11

총계

사망

12

10

16

10

8

56

부상

117

115

115

109

98

554

129

125

131

119

106

610

 

 특히 추락사(41%)와 심장돌연사(39%) 등 초기 대응이 중요한 사망사고가 다수 차지하고 있어 골든 타임 확보를 위한 전문구조대 운영이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 5년간 연도별 국립공원 탐방객 사망원인별 현황>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11

총계

추락사

6

6

7

3

1

23(41%)

심장 돌연사

5

4

6

4

3

22(39%)

익사

0

0

3

3

1

10(18%)

기타

1

0

0

0

3

4(7%)

12

10

16

10

8

56

 

또한, 국립공원 내 사고 발생의 39%는 북한산에서 집중됐으며, 뒤이어 설악산(21%)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사고 다발 국립공원에 대한 발빠른 대응과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최근 5년간 국립공원별 탐방객 안전사고 현황>

 

구분

북한산

설악산

지리산

무등산

기타*

총계

사망

13

20

5

3

15

56

부상

222

106

44

33

149

554

235(39%)

126(21%)

49(8%)

36(6%)

164(27%)

610

 

 하지만 현행법에는 국립공원공단이 전문 구조대를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부재해, 공단이 재난관리책임기관이자 긴급구조지원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어렵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국립공원공단은 탐방객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전문적 구조·구급 활동을 수행하는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임 의원은 “북한산, 설악산 등 주요 국립공원에서만 안전사고가 매년 100건 이상 발생하고 있지만, 법적 근거가 미비해 전문 구조대조차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국립공원을 누릴 수 있도록 구조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추락사와 심장돌연사 같은 중대사고의 경우 1분 1초가 생사를 좌우하는 만큼 골든타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법적 토대를 마련해 국립공원공단이 신속하고 전문적인 구조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북 도청.북부권 취재팀 gerko@naver.com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5650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임이자 국회의원,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 편성 위한 개정안 대표발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