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전통 발효 식품 세계화 기반 구축하나
경북도의회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 최종보고회 개최

경북은 콩의 주요 산지이자 삼국사기에 장(醬)문화에 대한 최초 기록이 남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보리와 검은 콩으로 쑨 메주로 담근 간장인 대맥장, 팥과 밀가루로 만든 메주로 담근 장인 소두장 식품 명인을 보유한 곳이기도 하다.
지난해 경북도에서는 경북에 특화한 지역 장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경북 한국장 데이’를 경주에서 여는 등 우리나라 장 문화와 장류를 세계화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또 경북에서 개발한 토종 발효균주 현황 및 기능성 장류 제조기술 연구성과 발표와 도내 우수 장류ᆞ간편식 된장ᆞ발효콩 과자 등 제품 관람, 이계호 학교장의 특강이 이어지기도 했다.
당시 이철우 경북지사는 “한국의 장(醬)은 선조들의 지혜와 발효과학이 담긴 국가유산으로 그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켜야한다”며, “도내 장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한국장이 K-푸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지난달 29일에는 이춘우 의원이 대표로 한 경북도의회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대표 이춘우 의원)가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됐다.
이날 연구용역은 박민규 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이 책임을 맡아 진행했으며, 경북 전통발효식품의 역사적 가치와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 특성과 잠재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전통발효식품 디지털 아카이빙 및 계승 방안, △전통발효식품 연구개발(R&D)센터 설립, △전통발효식품 명인 인증 및 청년 전수 프로그램 운영, △전통발효식품 웰니스 힐링캠프 개최 등 다양한 정책 제언이 제시됐다.
연구회를 대표하는 이춘우 의원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의 잠재력과 미래 비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군별 김치학교 설립 등 권역별 거점을 마련하고, 경상북도를 대한민국 전통발효식품의 중심지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전통 발효식품은 경북의 소중한 자산이자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제시된 정책 제언을 적극 반영해 전통발효식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안 방안 연구회」는 이춘우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일수, 김진엽, 김창혁, 윤철남, 이충원 의원 등 총 6명의 의원으로 구성됐다. 이번 최종보고회를 끝으로 작년 11월부터 6개월간의 이어온 연구 활동을 마무리하며, 향후 조례 제·개정 및 정책 대안 제시 등 실질적인 의정활동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경상북도의회는 앞으로도 도민과 함께하는 연구 활동을 통해 지역 전통 발효식품 산업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정책을 통해 전통발효식품 활성화에 힘써 경북 전통 발효식품의 세계화에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